막걸리추천(16)
-
제주 막걸리
마셔본 막걸리는 모두 블로그에 기록하려고 한다. 생막걸리는 그 지역에서만 마실 수 있어 특별한 느낌을 준다. 제주 라운딩 가서 마셔본 첫 제주 막걸리. 맛이 특별하게 느껴지지 않지만 제주도라도 특별하게 느껴야 할 것만 같다.지역 양조장들이 더욱 활성화되면 좋겠다. 생막걸리의 단점은 유통기한이어서 생막걸리가 생산 지역을 벗어나긴 힘들다. 소주도 막걸리도 다른 지역에 가면 꼭 그곳에서 생산된 술을 마셔보자.
2024.07.04 -
걸쭉한 “해창 막걸리”
“막걸리의계의 롤스로이스”란 수식어를 가지고 있는 해남 해창 막걸리. 그만큼 가격이 비싸단 말인데 한병에 ₩1만2천원을 지불하고 눈 오는 주말에 마셔 보았다. 용량이 900ml라 꽤 크게 보인다. 가격 또한 일반 막걸리의 몇배나 비싸다. 첫 한모금을 마시고 입에서 나온 말은 “내가 스프를 먹었나?” 막걸리 맛은 맞는데 너무나 “걸쭉한” 질감에 목넘김이 스프 그러니까 좀 더 오바하면 죽을 마시는 느낌 막걸리 이야기가 나올때 논쟁이 되는 감미료(아스파탐)이 해창 막걸리엔 들어가 있지 않다. “무 감미료”라는 문구가 막걸리 스티커에 딱 박혀있다. 알콜도수는 9도와 12도 두가지 종류가 있었는데 내가 가져온건 9도짜리이다.12도짜리 해창 막걸리는 색감이 더 맑았던거 같다. 저녁식사 하며 반주로 와..
2023.12.30 -
맛있다.. 월매 쌀 막걸리
“보코 호텔” 냉장고에서 가져온 "월매 쌀 막걸리" 캔을 이제야 따서 먹어 보았다 호텔 이용료에 다 포함돼 있는 돈이지만 냉장고를 모든 음료를 공짜로 제공한 보코 호텔에 감사를 표한다. "월매 쌀 막걸리"는 서울의 유명한 "장수 막걸리" 회사에서 나온 탁주이다. 캔으로 나온 이 막걸리는 유통기한이 12개월로 상당히 길다. 아마도 해외 수출용 목적으로 만들지 않았는가 추리해 본다. 유통기한이 1년이면 어느 나라에 수출해도 여유롭게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만큼 특별한 기술이 들어갔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내 입맛엔 "느린 마을 양조장 막걸리"가 가장 맞는다고 생각했는데 "월매 쌀 막걸리"도 딱 나의 입맛이었다. 탄산의 청량감이 다른 막걸리보다 많은 것 같았지만 적당히 달달한 맛이 좋았다. 편의점에서..
2023.03.07 -
설빙 인절미 순희_콜라보 막걸리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빙수 가게가 북적이고 있습니다. "설빙" 프랜차이즈는 우리나라의 독보적인 빙수 가게입니다. 설빙 인절미 빙수는 그곳의 시그니처 메뉴이기도 하지요. 올여름엔 아직 설빙 빙수를 먹지 않았지만 우리 아이들은 겨울에도 빙수를 먹더라고요. 사이다와 맥주의 콜라보 “칠성 사이다 맥주” 처럼 설빙과 보해양조가 콜라보를 해서 막걸리를 만들었습니다. 설빙의 대표 재료인 "인절미" 그리고 보해양조의 "순희 막걸리"가 믹스 되었습니다. 기대를 품고 마셔봤는데 인절미 맛보다는 예전에 마셨던 우도 땅콩 막걸리 맛하고 비슷하단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고유의 맛을 가진 두 가지를 섞었을 땐 위험이 따릅니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맛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설빙 인절미 순희 막걸리는 딱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
2022.10.03 -
느린마을 막걸리_배상면주가
오늘 0시 부로 코로나 자가격리가 해제 되었습니다. 그래도 주말까지 무리한 활동 없이 조심하려고 합니다. 와이프와 둘이 오랜만에 밍구 데리고 동네 벚꽃산책을 다녀 왔습니다. 온 가족이 코로나에 걸려 우리 “밍구” 산책도 못하고 살이 띠뚱띠뚱 쪄서 미안했는데 밖에 나가니 너무 좋아합니다. 와이프와 둘이 격리해제 자축 파티겸 점심을 먹었습니다. 소고기와 “느린마을 막걸리”를 사다가 먹었습니다. 맥주잔 구매처_하이젠버그유통 오랜만에 마시는 술이라 살짝 입만 막걸리로 적셨습니다. 역시 “느린마을 막걸리”는 제 입맛에 너무 맞는거 같아요. 우유같이 부드러운 질감에 이 단맛. 배상면주가에서 나온 느린마을 막걸리 집앞 편의점에선 구하기가 힘들었는데 “롯데마트 맥스” 에서 3개들이 제품을 판매 하고 있었습니다. 유통기..
2022.04.09 -
함평월야 막걸리
수많은 종류의 맥주가 있듯이 생막걸리 또한 다양한 종류로 전국에 걸쳐 포진해 있습니다. 전라남도 함평 월야주조장에서 만들어진 “함평 월야 막걸리”입니다. 사실 생막걸리 맛은 잘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비슷한거 같습니다. 우연히 티브이에서 생막걸리 만드는걸 본적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과정에 정성과 들어가는 단계를 거쳐서 소비자들에게 옵니다. 물론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막걸리는 공장에서 만들어 지지만 대부분의 생막걸리는 지역의 영세양조장에서 만들어 집니다. 유통기한이 1주에서 2주로 짧기 때문에 제때 마시지 못하면 폐기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만 만들어지는 지역 막걸리 그분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마셔 봅니다.
2022.02.14